나에게 딱 맞는 루틴은 따로 있다
MBTI & Big5로 찾는 나만의 루틴에 대해 이야기 보도록 하겠습니다
루틴이 힘든 건, ‘나랑 안 맞는 방식’이라서입니다
우리는 하루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방식이 모두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아침형 인간이고, 어떤 사람은 밤에 오히려 집중이 잘 됩니다.
어떤 사람은 철저한 계획표 아래 움직여야 안심되고,
또 어떤 사람은 느슨한 흐름 속에서 창의력이 살아나죠.
문제는, 우리는 종종 ‘모두에게 적용되는 루틴’을 따라 하려고 한다는 겁니다.
SNS에서 보이는 ‘이루고 있는 사람들’의 루틴,
유명인의 성공 습관, ‘아침 5시 기상 루틴’ 같은 정해진 틀들.
물론 참고가 될 수는 있지만, 이 방식이 나의 성격과 일상에 맞지 않다면 오히려 나를 지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요한 건, 나의 성격을 먼저 이해하고, 그에 맞춰 루틴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MBTI와 Big5 성격유형을 기준으로
각 유형에 맞는 루틴을 제안해드릴게요.
MBTI 기반 루틴 추천: 나와 잘 맞는 흐름 찾기
MBTI는 우리가 에너지를 얻는 방식, 정보처리, 판단, 생활방식을 4가지 기준으로 나누는 성격유형 테스트입니다.
다소 단순화된 모델이긴 하지만, 루틴을 설계할 때 꽤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되어줍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성향별로 루틴을 추천해볼게요.
1) I vs E (내향 vs 외향)
내향형 (I) :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에서 집중력이 높습니다.
조용한 공간에서 일과 시작
집중은 짧고 강하게 (예: 25분 집중 + 5분 휴식)
일정 시간 ‘혼자만의 리셋타임’ 확보
오전에 창의적인 일, 오후에 반복 업무
외향형 (E) : 사람과의 교류에서 에너지를 얻고, 말하며 생각이 정리되는 편입니다.
아침 스트레칭 또는 통화로 에너지 UP
팀과의 협업 시간 배치
루틴에 ‘사교 일정’ 포함 (산책, 커피챗 등)
업무 중간 소리 자극(음악, 팟캐스트) 활용
2) J vs P (계획형 vs 인식형)
계획형 (J) : 일정을 미리 짜야 마음이 편하고, 계획대로 흘러가는 걸 선호합니다.
전날 밤 or 아침에 ‘할 일 목록’ 작성
시작·끝 시간이 정해진 타임블록
예측 가능한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
일관된 기상/취침 루틴 유지
인식형 (P) : 계획보다는 즉흥과 유연한 흐름을 선호합니다. 일정에 너무 구속되면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유연한 체크리스트’ 방식 사용
해야 할 일 리스트는 아침 or 중간 점검
일마다 시간보단 ‘에너지 레벨’ 기준으로 배치
변화가 있는 일정에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여유 확보
3) N vs S (직관형 vs 감각형)
직관형 (N) : 추상적인 사고와 미래지향적 사고를 선호합니다.
하루 시작 전 ‘오늘의 목적’ 설정
루틴에 글쓰기·브레인스토밍 등 창의 활동 포함
큰 그림을 시각화하며 동기 부여
반복 작업은 음악이나 리듬으로 흐름 타기
감각형 (S) :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선호하며, 현실에 강합니다.
체크리스트 기반 루틴 (V 표시로 성취감 얻기)
구체적인 목표 설정 (예: 시간 단위 목표)
루틴 시각화 도구 사용 (플래너, 앱 등)
물리적인 환경 정돈 -> 집중도 향상
Big Five 성향별 루틴 설계법
Big Five(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성)는 더 정교하고 과학적인 성격 모델입니다.
각 성향에 따라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도 꽤 달라요.
1) 성실성(Conscientiousness)
높은 경우 : 체크리스트 루틴을 즐기고, 달성 자체에 큰 만족감을 느낌
루틴 팁: 성취 시 보상 구조 만들기 (ex. “완료 후 좋아하는 간식”)
낮은 경우 : 규칙적 루틴이 힘들 수 있음
루틴 팁: 루틴보단 환경 정비, ‘단 하나의 습관’ 먼저 실천
2) 개방성(Openness)
높은 경우 : 새롭고 창의적인 루틴을 즐김 (반복은 쉽게 질림)
루틴 팁: 일일 루틴에 ‘탐색 시간’ 포함 (예: 30분 새로운 콘텐츠 감상)
낮은 경우 : 익숙한 틀 안에서 편안함
루틴 팁: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루틴화된 활동 유지
3) 신경성(Neuroticism)
높은 경우 : 감정에 따라 루틴 지속 여부가 흔들릴 수 있음
루틴 팁: 감정 체크 인 루틴 (ex. 일기, 감정카드 사용), 실천보다 ‘시도’에 집중
낮은 경우 : 스트레스가 적고 꾸준함이 강점
루틴 팁: 큰 틀만 설정하고 유연하게 유지해도 OK
4) 외향성(Extraversion)
높은 경우 : 사람과 함께 할 때 더 잘 움직임
루틴 팁: 운동이나 공부도 소셜 환경 포함시키기 (ex. 클래스, 스터디 그룹)
낮은 경우 : 혼자 있는 시간이 생산적
루틴 팁: 루틴에 ‘혼자만의 시간’ 반드시 확보
5) 친화성(Agreeableness)
높은 경우 :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루틴 유지에 영향
루틴 팁: 함께 실천하는 루틴(예: 같이 운동하기), 감정적 피드백 중요
낮은 경우 : 자기주도적인 방식이 더 맞음
루틴 팁: 내 목표에 집중하는 구조, 성취 중심 피드백 강화
당신만의 루틴이 정답입니다
우리는 모두 다릅니다.
그리고 그 다름은 루틴 설계에도 그대로 반영되어야 합니다.
성격은 우리가 변화시킬 수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성격을 이해하면 더 지속 가능하고, 나다운 방식으로 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루틴이 잘 맞지 않는다면
“내가 게을러서 그런가?”보다
“혹시 이 방식이 나랑 안 맞는 건 아닐까?”라고 먼저 물어보세요.
루틴은 누군가의 것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잘 알아가는 여정입니다.
그 여정의 첫걸음, 지금부터 함께 시작해보는 건 어떠세요?